표준어 사정 원칙 :: Korean Tip
  • 2023. 3. 30.

    by. 1.한국정보

    [표준어 규정]은 크게 '표준어 사정원칙'과 '표준발음법'으로 나뉜다. 표준어 사정 원칙은 크게 총칙과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그리고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칙]

    제1항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 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외래어는 따로 사정한다.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3항 다음 단어들은 거센소리를 가진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표준어 표준어 아님 비고
    살쾡이 삵쾡이  
    털어먹다 떨어먹다  
     
    나팔꽃 나발꽃  

    제4항 다음 단어들은 거센소리로 나지 않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표준어 표준어 아님 비고
    분침 품침  

    제5항 어원에서 멀어진 형태로 굳어져서 널리 쓰이는 것은 그것을 표준어로 삼는다.

    표준어 표준어 아님 비고
    강낭콩 강남콩  
    사글세 삭월세  

    다만 어원적으로 원형에 더 가까운 형태가 아직 쓰이고 있는 경우에는 그것을 표준어로 삼는다.

    표준어 표준어 아님 비고
    휴지 수지  
    갈비 가리  

    제6항 의미를 구별함이 없이 한 가지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는다.

    표준어 표준어 아님 비고
     
    둘째 두째  
    넷째 네째  

    다만 '둘째'는 십 단위 이상의 서수사에 쓰일 때는 '두째'로 한다.

     

    제7항 수컷을 이르는 접두사는 '수'로 통일한다.

    다만 다음 단어에서는 접두사 다음에서 나는 거센소리를 인정한다. 접두사 '암'이 결합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표준어 표준어 아님 비고
    수강아지 숫강아지  
    수캐 숫개  

    또 다음 단어의 접두사는 '숫'으로 한다.

    표준어 표준어 아님 비고
    숫양 수양  
    숫염소 수염소  
    숫쥐 수쥐  

    제8항 양성 모음이 음성 모음으로 바뀌어 굳어진 다음 단어는 음성 모음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표준어 표준어 아님 비고
    깡충 깡충 깡총 깡총  
    오뚝이 오똑이  
    주추 주초 주춧돌

    다만 어원 의식이 강하게 작용하는 다음 단어에서는 양성 모음 형태를 그대로 표준어로 삼는다.

    표준어 표준어 아님 비고
    부조 부주  
    사돈 사둔  

    제9항 'ㅣ' 역행 동화 현상에 의한 발음은 원칙적으로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지 아니하되, 다음 단어들은 그러한 동화가 적용된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표준어 표준어 아님 비고
    냄비 남비  

    제10항 기술자에게는 '장이', 그 외에는 '쟁이'가 붙은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표준어 표준어 아님 비고
    유기장이 유기쟁이  
    미장이 미쟁이  
    소금쟁이 소금장이  

    제11항 모음이 단순화한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표준어 표준어 아님 비고
    미루나무 미류나무  
    으레 으례  
    허우대 허위대  

    제12항 모음의 발음 변화를 인정하며 발음이 바뀌어 굳어진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표준어 표준어 아님 비고
    허드레 허드래  
    깍쟁이 깍정이  
    나무라다 나무래다  

    웃' 및 '윗'은 명사 '위'에 맞추어 '윗'으로 통일한다.

    표준어 표준어 아님 비고
    윗니 웃니  
    윗머리 웃머리  
    윗사랑 웃사랑  
    윗도리 웃도리  
    윗넓이 웃넓이  

    다만 된소리나 거센소리 앞에서는 '위'로 한다.

    표준어 표준어 아님 비고
    위짝 웃짝  
    위층 웃층  
    위치마 웃치마  
    위통 웃통  

    다만 '위 아래'의 대립이 없는 단어는 '웃'으로 발음되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표준어 표준어 아님 비고
    웃돈 윗돈  
    웃어른 윗어른  

    제13항 한자 '구'가 붙어서 이루어진 단어는 '귀'로 읽는 것을 인정하지 아니하고 '구'로 통일한다.

    다만 다음 단어는 '귀'로 발음되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표준어 표준어 아님 비고
    귀글 구글  
    글귀 글구  

    제14항 준말이 널리 쓰이고 본말이 잘 쓰이지 않는 경우에는 준말만을 표준어로 삼는다.

    제15항 준말이 쓰이고 있더라도 본말이 널리 쓰이고 있으면 본말을 표준어로 삼는다.

    표준어 표준어 아님 비고
    부스럼 부럼  
    돗자리  
    궁상떨다 둥떨다  

    제16항 준말과 본말이 다 같이 널리 쓰이면서 준말의 효용이 뚜렷이 인정되는 것은 두 가지를 다 표준어로 삼는다.

    본말 준말 비고
    노을  
    망태기 망태  
    외우다 외다  
    서투르다 서툴다  

    제17항 비슷한 발음의 몇 형태가 쓰일 경우 그 의미에 아무런 차이가 없고 그중 하나가 더 널리 쓰이면 그 한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는다.

    표준어 표준어 아님 비고
    냠냠이 얌냠이  
    멸치 며루치  

    제18항 다음 단어는 두 단어를 모두 허용한다.

    원칙 허용 비고
    괴다 고이다  
    꾀다 꼬이다  
    쬐다 쪼이다  

    제19항 어감의 차이를 나타내는 단어 또는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이 다 같이 널리 쓰이는 경우에는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

    거슴츠레하다 게슴츠레하다
    께름하다 꺼림하다
    나부랭이 너부렁이

    제20항 사어가 되어 쓰이지 않게 된 단어는 고어로 처리하고 현재 널리 사용되는 단어를 표준어로 삼는다.

    표준어 표준어 아님 비고
    애달프다 애닯다  

    제21항 고유어 계열의 단어가 널리 쓰이고 그에 대응되는 한자어 계열의 단어가 용도를 잃게 된 것은 고유어 계열의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는다.

     

    제22항 고유어 계열의 단어가 생명력을 잃고 그에 대응되는 한자어 계열의 단어가 널리 쓰이면 한자어 계열의 단어를 표준어로 삼는다.

    표준어 표준어 아님 비고
    겸상 맞상  
    단벌 홑벌  
    총각무 알타리무  
    칫솔 잇솔  

    제23항 방언이던 단어가 표준어보다 더 널리 쓰이게 된 것은 그것을 표준어로 삼는다.

     

    제24항 방언이던 단어가 널리 쓰이게 됨에 따라 표준어이던 단어가 안 쓰이게 된 것은 방언이던 단어를 표준어로 삼는다.

    표준어 표준어 아님 비고
    빈대떡 빈자떡  

    제25항 의미가 똑같은 형태가 몇 가지 있을 경우, 그중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는다.

    표준어 표준어 아님 비고
    까다롭다 까탈스럽다  
    까치발 까치다리  

    제26항  한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 몇 가지가 널리 쓰이며 표준어 규정에 맞으면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

    가엾다/가엽다 개수통/설거지통, 개숫물/설거지물 곰곰/곰곰이
    극성떨다/극성부리다 깃저고리/배내옷/배냇저고리 꼬까/고까

    'Han-geul 한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의 표준 발음법(2/2)  (0) 2023.04.02
    한글의 표준 발음법(1/2)  (0) 2023.04.01
    표준어 규정  (0) 2023.03.30
    비슷한 발음의 한글 단어  (0) 2023.03.29
    한글의 띄어쓰기  (0) 2023.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