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Hangeul :: Korean Tip
  • 2023. 3. 17.

    by. 마인드-파워

    한글(Hangeul 또는 Hangul)은 한국어의 공식 문자이다. 한글이란 이름은 주시경 선연구학회 회원들에 의해 지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뜻은 '으뜸이 되는 큰 글' '오직 하나뿐인 큰 글' '한국인의 글자'이다. 또 다른 별칭으로는 정음, 언문, 언서, 반절, 가갸글, 국문 등이 있다.

    Hangul or Hangul is the official Korean alphabet. The name Hangeul is known to have been named by members of the Ju Si-kyung Seon Research Association, and its meaning is "big writing that becomes" "only one big writing, " and "Korean letters." Other nicknames include Jeongum, Eonmun, Eonseo, Banjeol, Ahatgle, Gaggle, and Korean.

     

    음소문자인 한글은 홀소리(모음)과 닿소리(자음) 모두 소리틀을 본떠 만들었으며 창제된 초기에는 닿소리 17개에 홀소리 11개, 총 28개였으나, 현재는 홀소리 10자, 닿소리 14자만 쓰고 있다. 한글은 표음문자(소리글자)이기 때문에 배우기 쉽고 읽고 쓰기가 쉬운 장점이 있다. 

    Hangul, a phonemic character, was modeled after the sound frame of both Hall sound (vowel) and Touch sound (consonant), and in the early days of its creation, there were 17 Touch sounds and 11 Hole sounds, a total of 28, but now only 10 Hole sounds and 14 Touch sounds are used. Hangul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learn and easy to read and write because it is phonetic (sound letters).

     

    한글은 창제 이래 약 400 여년이 넘도록 띄어쓰기를 하지 않았다. 한글에 띄어쓰기를 최초로 적용한 사람은 스코틀랜드 출신 장로교 선교사 존 로스이다. 그는 19세기말에 중국에서 선교활동을 하던 중에 성경을 한국어로 번역하고자 한국인 이응찬으로부터 한국어를 배운 후 한국어 학습 교재인 'Corean Primer'(한국어 첫걸음)를 1877년 펴냈다. 이 책에서 처음으로 한글 띄어쓰기를 적용하였다. 이는 영어의 띄어쓰기가 자연스레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Hangeul has not been spaced out for more than 400 years since its creation. John Ross, a Presbyterian missionary from Scotland, was the first person to apply spacing to Hangul. While doing missionary work in China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he learned Korean from Korean Lee Eung-chan to translate the Bible into Korean and published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textbook "Corean Primer" in 1877. For the first time in this book, Korean spacing was applied. This seems to reflect the spacing of English naturally.

     

    이후 배재학당 교수로 활동하던 미국 출신 언어학자이자 선교사 호머 헐버트 박사가 한글에 띄어쓰기 도입을 적극 권장함에 따라 1896년에 창간된 <독립 신문> 한글판에 띄어쓰기가 본격적으로 도입되었다. 1906년 대한국민교육회가 발간한 <초등소학>에는 단어와 조사들을 모두 띄어 쓰는 일도 있었다. 그러다가 1933년 조선어학회가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하면서 띄어쓰기와 어문규정이 하나씩 정립되기 시작했다.

    Since then, as Dr. Homer Hulbert, an American linguist and missionary who was a professor at Baejae Hakdang, actively encouraged the introduction of spacing in Hangul, spacing was introduced in earnest in the Korean edition of Independent Newspaper, which was founded in 1896. In 1906, <Elementary School>, published by the Korean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both words and surveys were written in spaces. Then, in 1933, when the Korean Language Society enacted a plan for unification of Korean spelling, spacing and language regulations began to be established one by one.

     

    한글은 낱소리 문자에 속하며, 낱자 하나는 낱소리 하나를 나타낸다. 낱소리는 닿소리(자음)와 홀소리(모음)로 이루어진다.

    한 소리마디는 첫소리(초성), 가운뎃소리(중성), 끝소리(종성)의 낱소리 세 벌로 이루어지는데, 첫소리와 끝소리에는 닿소리를 쓰고 가운뎃소리에는 홀소리를 쓴다. 한글은 낱자를 하나씩 풀어쓰지 않고 하나의 글자 마디로 모아쓰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Hangul belongs to the character of a single sound, and each letter represents a single sound. The sound consists of touching sounds (consonants) and odd sounds (vowels).

    One sound consists of three sets of sounds: the first sound (initial consonant), the middle sound (neutral), and the end sound (Jongseong), and the first sound and the end sound are used as touching sounds and the middle sound as hall sounds. Hangul has the characteristic of collecting and writing individual characters into one syllable without solving them one by one.

     

    닿소리

    기역 니은 디귿 리을 미음 비읍 시옷 이응 지읒 치읓 키읔 티읕 피읖 히읗

    홀소리

     

    사전에 올릴 때에는 첫소리 > 가운뎃소리 > 끝소리의 순으로 정렬하되, 그 정렬 순서는 다음과 같다.

    When posting it in the dictionary, it should be sorted in the order of first sound > middle sound > end sound, and the order of sorting is as follows.

     

    첫소리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가운뎃소리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끝소리 ㄱ ㄲ ㄳ ㄴ ㄵ ㄶ ㄷ ㄹ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ㅁ ㅂ ㅄ ㅅ ㅆ ㅇ ㅈ ㅊ ㅋ ㅌ ㅍ ㅎ

    한글의 모든 낱자는 한데 모아쓰도록 하고 있으며, 닿소리를 가장 먼저 쓰고 그 오른쪽이나 아래에 홀소리를 적으며, 모든 받침은 닿소리와 홀소리 밑에 놓인다. 따라서 글자 마디로 모아쓸 때는 다음과 같은 틀에 맞추어 쓴다.

    All the letters of Hangeul are to be written together, and the sound of touching is written first and the sound of a hole is written on the right or bottom of it, and all the consonants are placed under the sound of touching and the sound of a hole. Therefore, when collecting and writing in a word bar, it is written according to the following framework.

    • 중성이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ㅣ일 때는 중성을 초성의 오른쪽에 붙여 쓴다.

    • 중성이 ㅗ, ㅛ, ㅜ, ㅠ, ㅡ일 때는 중성을 아래쪽에 붙여 쓴다. 종성이 있으면 그 아래 붙여 쓴다.

    • 중성이 ㅘ, ㅙ, ㅚ, ㅝ, ㅞ, ㅟ, ㅢ와 같이 아래쪽에 붙이는 모음과 오른쪽에 붙이는 모음의 복합일 때는 다음과 같이 아래쪽에 먼저, 그다음 오른쪽에 붙여 쓴다. 종성은 마찬가지로 아래쪽에 붙여 쓴다.

    To be continued.

    '한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의 띄어쓰기  (0) 2023.03.29
    한글의 형태(2/2)  (0) 2023.03.28
    한글의 형태(1/2)  (0) 2023.03.28
    한글의 소리  (0) 2023.03.27
    한글 맞춤법 총칙과 자모  (0) 2023.03.27